(경기뉴스통신) 광명시가 광복72주년을 맞아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로하고 아픈 역사를 치유하기 위해 ‘평화를 위한 소녀의 꽃밭(약칭 소녀의 꽃밭)’을 조성했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11일 광명동굴 입구에서 ‘평화의 소녀상’ 건립 2주년 기념행사를 갖고 광주 나눔의 집, 광명 평화의 소녀상 참뜻 계승관리위원회와 소녀의 꽃밭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광주 나눔의 집 이옥선(91) 할머니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소녀의 꽃밭 청소년 기획단, 시의원 등 100명이 참석했다.
소녀의 꽃밭은 광명동굴과 광주 나눔의 집에 각각 조성되며 광명동굴 소녀상 옆에는 고(故) 김순덕 할머니의 그림 ‘못다 핀 꽃’에 등장하는 목련나무와 함께 할머니들이 좋아하는 서흥구절초, 벌개미취, 부처꽃, 층꽃 등 우리나라 야생화 10여 종이 식수됐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는 “소녀상 옆의 예쁜 꽃들을 보니 옛날 생각도 나고 감회가 새롭다”며 “일제시대의 피해에 대해서 일본 정부가 하루빨리 사과하고 적정한 배상을 해야 역사가 바로 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정부가 올해부터 8월 14일을 ‘위안부 피해자 기림일’로 지정하는 등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어 다행스럽다”며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37명이 생존해 계신데, 소녀의 꽃밭 조성을 계기로 할머니들 생전에 아픈 역사가 하루 빨리 치유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소녀의 꽃밭 조성을 위해 지난 7월 27일 평화의 소녀상 청소년 지킴이 등 광명시 청소년이 주축이 된 ‘소녀의 꽃밭 청소년 기획단’이 출범했으며, 조경 전문가, 캘리그래피 전문가 등과 함께 시민주도형 프로젝트로 추진돼 왔다.
기획단에 참여한 우영수 학생(광명고 2학년)은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우리들이 올바른 역사 인식을 갖는게 중요하고 소녀의 꽃밭이 할머니들을 아름답게 기억하는 쉼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