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통신) 지난달 29일 기획재정부 복지예산심의관(안도걸)이 남양주시 읍면동 복지허브화 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읍면동 복지허브화 선도지역 중 한 곳인 화도읍과 남양주시 대표 브랜드 희망케어센터를 방문하여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 내용과 민관협력 우수사례를 청취하고 현장을 직접 둘러봤다.
또한, 이 날 방문에는 보건복지부에서도 동행하여 읍면동 복지허브화 추진 사항을 점검하고, 맞춤형 복지팀 담당자와의 간담회를 통해 의견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남양주시는 책임읍동을 중심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를 선도적으로 추진, 사업 시행 초기에 ‘맞춤형 복지팀’을 신속하게 구성.운영하였으며, 통합사례관리사.방문간호사, 직업상담사 등 전문인력을 배치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체계를 마련하였다. 또한, 시민접점인 읍면동 단위 민관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민간복지기관 희망케어센터와 합동근무체계를 구축하였고, 향후에는 고혈압.당뇨센터, 건강증진센터, 푸드마켓, 신용회복 등 민간기관을 배치하여 ‘남양주형 읍면동 복지허브화 모델’을 완성할 계획이다.
이런 남양주형 읍면동 복지허브화 모델의 장점은 민과 관, 기관 간 신속한 서비스 연계.의뢰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이미 3군데 책임읍동에서 맞춤형 복지팀과 희망케어센터와의 유기적 협력을 바탕으로 민관협력 우수사례를 창출해내고 있으며, 향후 민간기관 확대배치에 따라 복지사각지대 발굴.지원, 통합사례관리, 찾아가는 복지상담 등 맞춤형 복지팀 업무전반 다양한 협력을 통해 더욱 큰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안도걸 기획재정부 복지예산심의관은 “읍면동 복지허브화의 성공은 민관협력이 중요하다. 남양주시는 지역에서 발굴된 자원이 어떻게 대상자에게 연계되는지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고, 시민들을 복지사업에 함께 참여시켜 끊임없이 관심을 갖게 하고 있다. 이처럼 시민들과의 신뢰가 쌓여야 민관협력이 활성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남양주시 관계자는 “남양주시가 읍면동 복지허브화 선도 지역으로서 좋은 우수사례를 창출하여 후발지역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지역 특성을 반영한 남양주형 복지허브화 모델을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시민들의 복지체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