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통신) 한방 약재로 사용되어 온 작약이 자궁의 수용력을 높여 임신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
한국연구재단은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을 받은 하기태 교수 연구팀(부산대)이 한의학에서 다양한 부인과 질환에 사용되어 온 작약이 자궁의 수용력을 증진시킴으로써 임신을 촉진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했다고 밝혔다.
현재 우리나라의 불임률은 13% 이상(201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 추정되며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불임의 다양한 원인 중에서도 산모의 고령화와 연관되어 흔히 발생하는 난소 기능의 감소와 자궁의 착상력 부전으로 인한 불임은 현재까지 효과적인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팀은 이에 착안하여 5대째 불임환자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는 한의원의 가전비방(家傳秘方) 2종에 포함된 한약재를 중심으로 자궁내막의 수용력을 조절하는 핵심인자인 엘아이에프(LIF)라는 면역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약재를 탐색했다.
그 결과, 함박꽃의 뿌리인 작약이 가장 뛰어난 엘아이에프 발현 증가를 보였고, 인간 세포주를 이용한 실험 결과 자궁내막세포와 영양막세포의 결합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세포 간의 접착에는 주로 인테그린 단백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생쥐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길항제인 미페프리스톤(RU486)을 처리해 만들어진 자궁내막의 수용력이 감소된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작약을 경구로 투여한 결과, 생체 내에서도 작약이 자궁내막의 수용력을 증가시켜 임신을 촉진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성과는 자궁내막의 수용력과 관련된 국내 최초의 연구로 불임치료의 요소 중 하나인 자궁내막 수용력을 증진시켜 임신율을 높이는 최적의 치료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국연구재단은 전했다.
한편, 이 연구성과는 과학과 의학 분야 기초연구 국제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 지난 2월 3일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