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뉴스통신) 경상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4월부터 10월까지 제2군 법정감염병인 일본뇌염의 매개모기에 대한 도내 출현과 발생 비율을 파악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전국 조사망과 연계하여 모기밀도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경우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병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무증상이나,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하며,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은 질병이다.
연구원은 일본뇌염 유행예측조사를 위해 진주시 호탄동 소재 우사 1개소를 도내 대표지점으로 선정하고 유문등을 설치하여 주 2회 모기채집을 실시한다. 채집된 모기의 형태학적 특징에 따라 종 분류와 함께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의 밀도를 조사한다.
이 조사를 통해 일본뇌염 매개모기 첫 출현 시에는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며, 매개모기의 밀도가 50%이상이면서 매개모기 개체수가 500마리 이상일 때는 경보를 발령한다.
도민들에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고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인 생후 12개월~만12세 어린이는 예방주사를 맞도록 권고하는 등 일본뇌염 사전 예방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매개모기 중 국내에 서식하는 흰줄숲모기도 함께 채집하여 지카바이러스 보유여부도 조사할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일본뇌염, 지카바이러스감염증 등의 감염병 매개체 분포 양상 및 밀도를 신속히 파악하여 감염병을 사전에 차단하는데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