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연합뉴스) 구조적 수출부진 타개를 위한 미래 제조기술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한-EU가 공동으로 연구개발(R&D)을 하는 방안이 모색됐다.
KOTRA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16일 오후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오스트리아, 독일, 영국 기업인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FTA 허브 활용 한국 R&D 국제 협력 방안 및 투자유치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국내 기업에게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유럽 강소기업 및 R&D 센터와의 공동 R&D 기회를 제공하고, 국내에 R&D 센터 유치를 확대하기 위하여 개최됐다.
오스트리아는 116개 히든챔피언 기업들이 경제를 선도하면서 전체기업의 99.6%에 이르는 중소기업들이 경제를 탄탄히 받치고 있는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국내 중소 · 중견기업들이 기술 개발을 위한 R&D 협력관계를 구축하기에 매우 매력적인 국가이다. 또한, 지난 500년간 신성로마제국 황제를 배출하여 유럽을 통치했던 합스부르크 가문의 영향으로 오스트리아 기업인들은 외국과의 협력에 상당히 개방적이므로 우리기업들이 유럽에서 협력 파트너를 발굴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오스트리아 기업들의 R&D 지출 규모는 총 GDP의 2.7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EU 국가들 중 다섯 번째로 높다. 최근 오스트리아 정부는 특별히 오스트리아 기업과 R&D 협력관계를 구축한 한국, 일본, 미국 등 EU 역외국가 기업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Beyond Europe’ 프로그램을 신설하여, 한국의 중소·중견 기업도 오스트리아 기업과 함께 최신 기술을 연구하면서 R&D 예산도 지원받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또한 이번 포럼에서 자동차 엔진 부문 오스트리아 히든챔피언 기업인 AVL社는 지난 2007년부터 국내에서 엔진 센터를 운영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R&D 센터 설립 성공사례를 들려줌으로써 국내 R&D 센터 투자 환경의 생생한 목소리를 전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김기은 서경대 교수와 윤의준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 MD 등 전문가들은 제조업 혁신 3.0 및 Industry 4.0 등 미래 제조업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EU, 한-오스트리아 R&D 협력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희재 산업통상자원 R&D 전략기획단장은 “오스트리아 기업 및 연구소 관계자들의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에 큰 감명을 받았다”며 “유럽 하이테크 기업 및 첨단기술연구소와 공동 R&D 프로젝트가 활발히 발굴되어 한국 제조업의 기술경쟁력이 한층 강화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