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합뉴스) 지난 8일 범부처 합동으로 콜롬비아 외교부 청사에서 콜롬비아 정부와 국별협력전략(CPS) 정책협의를 개최했다고 기획재정부가 밝혔다.
양측은 교통, 지역개발, 산업, 공공행정 네 개 분야를 중점협력분야로 지정하고 구체적 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이번 논의에서 콜롬비아는 잠재성장률 하락의 주원인으로 물류부문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면서, 한국의 우수한 관세·통관, 전자정부 시스템의 도입이 자국 경제성장을 위해 필요하다고 역설했고, 기획재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을 통해 한국의 ICT 기술과 시스템 수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같은 날 오후에는 CPS 추진방안의 일환으로, 콜롬비아 보건부와 세계은행(WB) 실무진간 우리나라 의료 시스템 수출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했다.
콜롬비아 보건담당국장은 현재 콜롬비아의 의료행정 시스템은 각 소관 기관에 산재되어 종합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임을 설명하고, 한국의 통합 보건의료시스템 도입이 효율적인 의료행정시스템 도입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WB 신탁기금과 한국의 KSP를 통한 자문과 전문가 파견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금년 7월까지 한국과 WB의 공동컨설팅을 실시한 후 한국의 통합보건의료정보시스템을 자국에 맞게 도입하는 방안을 내년 중 실시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향후, 기재부는 EDCF, WB의 협조융자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리나라 복지부 등 관련부처와 협업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그동안 한국은 도미니카 공화국에 관세행정 시스템, 코스타리카에 조달행정 시스템을 수출했으며, 이번 콜롬비아와의 협력사업을 통해 전자정부, 보건의료정보통합시스템(최초) 확산에 주력하여 우리 기업(SI업체)의 진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